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행동・습관・루틴

성과를 올리기 위한 습관 지속 방법 - 청킹(Chunking)

by 후니훈 - Mindfulness A to Z 2022. 11. 14.
반응형

지속적으로 행동해서 성과를 올리기 - 청킹의 활용

행동을 지속하는 것보다, 미션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 일어나는 일들을 헛되지 않게 사용하여 미래의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전부를  자신의 목표와 관련시켜 생각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보텀업 방식과 톱다운 방식이 있는데, 어느 쪽도 공통되는 뇌의 작용으로 ‘청킹(chunking)’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의 뇌는 용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관련되는 정보를 하나로 묶어 기억해 두고, 중요한 것을 위해 일정 용량을 비워두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청킹이 지속하는 습관을 만드는데  효력을 발휘한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하나하나에 청크를 사용하면 금세 뇌가 용량 초과 상태가 되어버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에 관련지어 청크를 만들  있도록 단련해야 한다.

그럼, 구체적인 방법을 아래에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 보텀업 방식

  • 중요한 가치에 관련지어 청킹하자. 간혹 이것은 ○○ 도움이 된다 라며, 긍정적으로 일을 진행해 나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런 부류의 사람들의 뇌는 결코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행동을 자신의 다른 중요한 가치관에 관련시켜 청크를 만드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다. 우리들 인간은 하나의 사건으로부터 하나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부터  청크를 만듦으로써, 더 많은 것을 배울  있게 된다. 이것이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것' 지속할  있는 능력인 것이다.

 

  • 눈앞에 있는 정보를, 한 가지 상위의 카테고리에 바꿔 읽는 능력을 기르자. 그러기 위해서는 항상 '○○ 위한 연습'이란 생각으로 임하는 자세가 좋다. 행여 실패를 하더라도 상위의 가치에 대한 연습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자신의 미션을 위해서 전진해 나갈 수 있는 구동력이   있을 것이다.

 

  • 언어화하면 기억이 바뀐다. 우리의  안에서의 어떠한 사건이란언어화에 의해 자신만의 해석을 가지고 객관적인 실제와는 다른 상태로 기억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해한 후에, 스스로가  길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일부러 언어화를 통해서  안에 자신만의 기억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자신의 마음속에서 생겨난 감정에 대해 그 근원을 찬찬히 생각해보자. 사람의 뇌는 모르는 것이 있으면 몸의 움직임을 명령할  없게 된다. , 우리들은 자신의 마음속에서 일어난 일을 이해할  없는 상태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작업을   없다. 시계열로 감정의 변화를 정리하면, 뇌가  감정에 대해 이해할  있게 된다. 만약 단순한 정동 반응이었다면 불안이나 걱정의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있을 것이다. 뇌에게 '이해했다'라는 상태로 이끌어 주면 불안과 걱정을 떨쳐내고 자신을 새로운 길로 접어들  있게 컨트롤할  있다.
반응형

 

■ 톱다운 방식

  • 목표로부터 역산한다. 지금 내가 매일같이 시간을 쏟아서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을 위한 일인지 알지 못하면, '명령 내려진 일'이라고 인식되어 지속할  없게 된다. 그러므로 목표로부터 역산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면 지금 하는 일이 무엇에 도움이 되는지 알게 된다. 그러면,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라는 자발적인 내적 동기가 부여되어 행동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2개 앞의 목표를 내다본다. 머나먼 목표로부터 역산 하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최종적인 목표로부터 역산하지 않고 2 앞의 목표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전혀 문제없다. 2 앞의 목표를 설정해 두면, 자신의 현재 위치가 알기 쉬워지고, 조금 비효율적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해야 할 일에 딸려오는 잡일도 목표에 연결해서 생각하는 힘이 길러진다.

 

  • 지금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능력을 학교 교과서에 짜 맞춰 본다. 우리들은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까지 일련의 교육을 받아왔다. 그러므로 얼추 교육받아왔던 과목들에 대한 지식과 능력이 뇌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다. 지금 스스로가 사용하는 능력을 학교에서 배웠던 교과 과정에 짜 맞춰 보면 자신의 ‘뇌’라는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능력이 다 발휘하고 있는지, 아직 감추어져 있는지 객관적으로   있게 된다. 어떠한 일을    일이 어떠한 과목이나 전공에 속하는지 관련지어 봄으로써 불필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조금이라도   있는 사고를 가질  있게 된다.

 

딴짓을 하며 보낸 시간을 집중해서 일을 한 시간으로 바꿔서 생각해보자

충실하게 보내지 못했던 시간을 집중해서 충실히 보낸 시간으로 바꿔보면, 자신에게   유용하게 시간을 보낼  있다는 점을 깨우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시간의 작업이라는 청크를 만들어 놓으면, 1시간 안에 끝낼 일을 모두 하나의 저장공간에 정리할  있으므로, 그것만으로도 여유 공간이 늘어나 대응력을 향상할  있다.

반응형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라고 생각하자

자신의 삶의 일부분이 방송된다고 가정하면 목표로부터 역산해서 구성되어진다. 무엇인가 중요한 사건에 마주쳤을 , 지금의 상태를 상세히 주목하기 때문에 현재 위치가 명확해진다. 자신의 인생을 60분의 다큐멘터리 안에 집어넣어 보면, 간단히 목표로부터 현재의 상황이 어디쯤에 있는지, 사소한 문제인지 아니면  문제에 직면했는지 판단하기 쉬워질 것이다.

 

목소리를 내면서 생각하는 발화 사고법

무언가를 생각할  무심코 "이건  되겠다", "모르겠다", "어떡하지?"와 같은 말을 내뱉지는 않는가? 이런 식으로 스스로에게 속삭이면,  안에 준비된 청크를 검색하지 못하고, 그런 상태에서는 당연히 올바른 길로 접근할  없다. 무언가 문제에 부딪혔을 , "이건 ○○ 닮지 않았나?", "○○라고 생각해 보면", "이것이 만약 ○○ 경우라면"과 같이, 자신의  속에 있는 청크를 찾는 언어로 속삭여 보면 머릿속에 있는 답에 쉽게 접근할  있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