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자아실현・초월

인간의 존재 이유 - 진화론적 의미

by 후니훈 - Mindfulness A to Z 2022. 7. 30.
반응형

봄날의 기운이 생각하게 만들어 준 생명활동의 의미 

지난겨울, 우울증과 공황장애 때문에 회사에 휴직서를 내고 침울한 나날을 보내며, '나는 무엇 때문에 살고 있는 걸까?'를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을 무렵, 때는 흘러 봄이 찾아왔다. 집 앞에 늘어선 벚꽃나무의 봉우리는 생각의 속도보다 빠르게 분홍색의 꽃잎을 펼쳐내고 있었다. 나는 그냥 집 안에서만 지내고 있기가 아까워, 주택가 여기저기를 정처 없이 떠돌아다녔다. 따스한 햇살을 받으며 거리를 걷고 있자니, 뇌에서 세로토닌이 다량으로 분비되었던 덕분인지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아직은 전반적으로 멍한 상태로 지냈었지만, 그래도 무언가에 조금씩 집중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다. 그때 '나는 누구인가?'라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던 참이었다.

'인간의 존재 이유', '생명활동의 의미', '과학적 근거' 등의 교집합을 찾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을 때, 나는 우연히 접하게 된 '차이틴'이라는 과학자의 흥미로운 가설에 빠져들게 되었다. 나는 수학이나 과학적 근거에 의해서 도출한 주장이나 가설을 좋아한다. 심증이나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없는 주장은, 믿음이 가지 않을뿐더러, 마음의 혼란만 가중시킨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차이틴이 수학적으로 고찰한 인간 생명의 정의가 너무나도 내 마음에 와닿았다.

창 밖에 만개한 벚꽃
전에 살던 집에서는 봄이 되면 창밖으로 피어난 벚꽃을 만끽할 수 있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생명현상은 무엇일까? 

차이틴의 초생물학이 이야기하는 생명현상

그레고린 차이틴(Gregory Chaitin)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수학자이자, 계산기 과학자이다. 그는 2010년 1월에 뉴멕시코주에 있는 복잡계 분야에서 권위가 높은 산타페 연구소에서 ‘메타 바이올로지(초생물학)’을 발표했다. 그다음 해에는 저서 ‘다윈을 수학으로 증명하다(Proving Darwin: Making Biology Mathematical)’를 출간했다. 차이틴은 원래 전문분야가 수학이지만, 그중에서 좀 더 전문적으로 파고들었던 초수학(메타 메스메티컬)은, 수학에 대해 연구하는 숫자를 다루는 학문이다. 그는 산타페 연구소에서 ‘생명현상은 무엇인가?’라는 것을, 초수학을 이용해 정의했다.

반응형



DNA와 랜덤 워크(돌연변이)가 생명체를 진화시켰다

차이틴이 정의하는 생명현상은, ‘스페이스’를 ‘랜덤 워크’하면서 ‘힐 클라이밍’하는 것이다. ‘스페이스’란, 하나의 정보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제약적 공간(이산적으로 분리된 공간)이다. '랜덤 워크'는, 다음을 예상할 수 없는 돌연변이 현상이다. '힐 클라이밍'은, 그 공간을 한 단계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다. 즉, 어느 한 정보 공간 안에서 랜덤한 돌연변이를 반복해 나가며, 정보 레벨(추상화 단계)을 높여 나감으로써, 진화해 온 것이라고 그는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DNA를 발견하기 이전의 생각 방식은, 생명현상의 진화는 완전한 랜덤한 돌연변이로 여겨졌다.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도, 어떠한 변이를 일으키는지도, 기본적으로는 알 수 없다. 랜덤성을 계산하는 가상 기계로 생명 진화에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니, 분자수 n의 5승 레벨의 결과가 나왔다. 계산기의 계산량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사람은 잘 이해하겠지만, n의 5승이라는 양은 엄청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우주의 연령이 138억 년이라는 억년의 시간으로도 불가능하고, 더군다나 지구가 생겨난 47억 년의 억년의 시간으로는 절대로 완료할 수 없는 계산량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한 랜덤으로는 절대로 여기까지 진화를 할 수 없다는 계산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DNA의 개념이 이를 완전히 뒤바꿨다. 순수한 하나의 DNA가 생겨나면, 그 조합을 전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지만, 이전의 DNA의 상태를 계승해 나감으로써, 무려 진화라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가 이야기하는, 랜덤한 힐 클라이밍이라는 의미이다. 랜덤한 상태가 힐 클라이밍 할 수 있다면, 신 혹은 창조주의 인텔리젠트 디자인(어떠한 지적인 존재가 우주나 생명, 진화를 설계했다는 생각)에 근접한 계산량으로 진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그의 논리이다.

즉, DNA와 랜덤성이 존재한다면 지구시간으로 생명은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윈의 진화론을 현대화 한 이론이기도 하다. 다윈은 DNA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DNA의 개념이 포함되어있다. 그러므로 차이틴은 ‘메타 바이올로지(초생물학)’라고 부르고 있다.



사고 그 자체가 생명현상의 일부이다

차이틴은, ‘생명현상은 법칙을 고쳐 쓰는 것’이라고도 이야기했다. 그것은, DNA의 존재 위에서, 유전자 비트 레벨의 고쳐쓰기(랜덤한 변화나 돌연변이)를 의미한다. 생명현상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고 있는 곳은, 염기서열이 아닌, 알고리즘 그 자체에서 일어나야만 힐 클라이밍이 가능하다. 물론 결과로적으로는 DNA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곳은, 컴퓨터로 이야기하면 하드디스크나 CPU의 메모리가 아닌, 그 안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인 것이다. 그래서 계산 소프트웨어에 랜덤성을 넣어서 계산하면, 지구시간으로 진화가 가능하고, 그래서 랜덤성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차이틴은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바꿔서 이야기하자면,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하나의 정보 공간에서, 사고의 단계를 높여 생각하고(추상적인 사고를 하고), 그것에 바탕으로 선택과 행동을 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진화의 결과에 반영되는 셈이다. 사고를 할 수 있는 것은, 동물 생물 중에서도 인간뿐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뇌는 위대한 것이며, 그 사고라는 힘은 누구도 가지지 못한 것이다.

사고가 멈춰 있다는 것은 곧 ‘진화가 멈춘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진화는, 창조적 활동(크리에이티비티)이다. 랜덤 하지만 힐 클라이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단계 위의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이 크리에이티브한 발상이며, 어떻게 보면 생명 현상 자체가 곧 크리에이티브 한 현상인 것이다.

반응형

 

무리 안에서 안주하고 있다면, 생명현상은 멈춘 것과도 같다 

여기서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면, 사고라는 것은 생명현상의 일부다. 사고는 정보 공간에 있어서의 랜덤 워크와 힐 클라이밍. 일정 이상의 의지와 논리적 사고는 있으나,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랜덤 워크)이 일어나는 것. 그리고, 사고가 한 단계 위의 추상적 공간으로 뛰어 올라가는 일(힐 클라임)이 일어나는 것이다.

영어 표현 중에 ‘스쿨 오브 피시’라는 말이 있다. 본래의 영어에서 의역하자면 ‘떼, 무리’를 나타내는 말이다. 생물이 떼를 지어서 행동하는 이유에는 몇 가지 설이 있으나, 생물학자 조지. C. 윌리엄스가 쓴 저서 ‘생물은 왜 진화하는가’에 의하면, 떼로 행동하는 것은 생존확률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존확률을 높이기 위한 행동만으로는,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없다. 왜냐하면 무리 안에 있으면 사고의 레벨을 높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에노시마 수족관에서 만난 '스쿨 오브 피시'


이러한 차이틴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자면, 일반적인 직장인들은 모두가 하나 같이 생명 현상이 멈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직장인들의 행태를 보고 있자면, 대부분이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상사나 누군가에게로부터 전해 들은 것을 새겨듣고 행동으로 옮기고, 전례나 업계 관례에 따르기만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사고가 정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거기에는 일절 힐 클라이밍이 존재하지 못한다. 이것이야말로 스쿨 오브 피시의 표본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느 정도는 스스로 생각하며, 조금 앞에 벌어질 일을 생각하여 주변에 맞춰나가지만, 결코 그 무리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다. 생명의 위기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이 생각 방식은 유효하다. 왜냐하면 집단 전원의 힘에 의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하지만 개인의 레벨로 보면, 이것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개인으로서의 자유를 빼앗기고, 진화의 가능성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무리 안에서 존재하는 이상, 크리에이티브는 물론,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 무리 안의 한 마리의 물고기가 ‘육지로 향하자’라고 생각하는 순간이야말로, 크리에이티브인 것이다. 이것이 힐 클라이밍이며, 돌연변이에 의한 진화가 아닐까. 무리 안에 있는 것이 현 계층의 추상도에서 보면, 아마도 좋은 선택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높은 추상도에서 바라보면 좋은 선택이었다. 물고기가 육지로 올라왔기 때문에 인류로의 진화가 있을 수 있었다. 진화의 시간축으로 보면, 이 선택은 어떠한 의미에서는 올바른 것이었던 셈이다.

 

일상생활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지니는 방법 

고민하지 말자! 그리고 뭐라도 좋으니 생각하고 의사결정을 하자!

고민이라는 것은, 우리의 뇌에서 일어나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에 지나지 않는다. 거기에는 생산적인 요소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에너지의 엔트로피(무질서도)가 상승할 뿐이다. 그러므로 고민을 한 결과, 앞서 이야기 한 사고의 단계를 높여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우리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무엇이 좋고 나쁜지 너무 고민할 필요가 없다. 고민할 바에는 뭐라도 좋으니(랜덤이라도 좋으니), 하나의 대상을 선택하자. 그리고 그 대상에 대해 사고한 것을 정리하고 종합하여(추상화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행동해 나가는 것이, 스스로에게 인간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 다시 강조하자면, 선택에는 좋고 나쁨이 없다. 왜냐하면 앞서 이야기했듯이 랜덤성이야말로 우리 인간이라는 생명이 진화해 왔던 원천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성향이 아주 오랜 시간을 걸쳐서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랜덤으로 힐 클라이밍 하려는 의지가 우리의 DNA에 내재되어 있다고 믿는다.

행여 계획에 없던 일, 귀찮게 느껴지는 일이라도 일단 실천해보자. 생각했던 대로 불필요하고 귀찮은 것일 수도 있다. 혹은 반대로 생각보다는 즐겁고 의미 있는 일 일수도 있다. 물론 시간과 자원은 유한하므로 처음부터 가치가 있고 의미 있는 일을 계획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행동을 함으로써 좋고 싫음의 자극을 얻는 것, 나아가 그 자극과 느낌, 사실을 자세히 들여다 봄으로써 개선해야 할 문제나 창의적 발상, 높은 가치의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인생에 있어서 멈춰있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행동하고 실천하는 것, 그리고 잠시 쉬어 가면서 스스로의 행동에 의해 얻어진 느낌과 생각을 세세히 둘러보는 것, 그것이야말로 좋은 영감을 얻고 동기부여를 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세이다.


위 글은, 올해 초에 나 스스로가 새롭게 마음을 다잡기 위해, 몇 날 며칠을 고민하며 작성했던, 사명서의 일부분이다. 시간이 지나서 다시 한번 읽어 보니, 차이틴이 이야기 한 '랜덤하게 추상화의 레벨을 높여나가는 것'에 대한 수단을, 나만의 언어로 표현한 문장처럼 느껴졌다. 나도 어쩔 수 없는 인간의 DNA를 지닌 생명체인가 보다. 왜냐하면 내가 아주 중요하다고 정의한 사명 그 자체가, 결국에는 우리 인간 생명체가 진화를 하기 위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명서 작성과 관련된 포스팅은 아래 링크 참조

 

‘사명서’ 작성 예시 - 프랭클린 플래너 활용기

사명서 작성하기 사명은 우리 자신의 인생의 의의를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어떠한 성장을 이룩하고 싶은지, 무엇을 달성하고 싶은지, 또한 어떤 공헌을 하고 싶은지를 문장으로 명시해

the-man-of-illusions.tistory.com

 

반응형

댓글